셔터스톡(ShutterStock)에 사진 판매하기

셔터스톡(ShtterStock)에 사진을 판매해보자!

지난 글에서 셔터스톡 기고자 가입 및 세금 양식 등록에 대해 알아 보았으니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사진을 등록하고 판매를 개시해보자! ^^


판매 할 사진 선별 하기

우선 어떤 사진을 판매할 것인가?….에 대한 것은 지극히 주관적인 부분이니 생략하고…
셔터스톡에서 승인이 되는 조건에 대해 내 경험에 비추어 정리해보았다.

1. 사진 촬영 기기

​전문 디지털 카메라 사진이든 필름 카메라 스캔 본이든 휴대 전화 촬영 사진이든 상관 없다.
(오직 사이즈와 해상도, 품질만 있을 뿐!!)

2. 사진 파일 포맷

​Jpeg 과 Tiff 이미지 포맷을 지원한다.
포토샵 작업 파일 PSD등은 지원하지 않으니 반드시 별도 Jpeg 파일 내보내기를 통해 생성한뒤 등록해야 한다.
그리고 포토샵에서 Tiff 로 저장시 레이어가 있는 형식의 포맷이면 등록이 되지 않는다.

​결론은 셔터스톡에서는 Tiff로 올려도 Jpeg으로 자동 변환하여 등록이 되니 그냥 Jpeg으로 등록하자!

3. 사진 사이즈

​일단 4 메가 픽셀 이상의 사진이어야 한다.
이는 파일 크기가 아닌 실제 이미지 크기를 말하며 계산 방법은 간단하다.

(가로)2000 x (세로)2400 = 4800000 픽셀 = 4.8 메가 픽셀

위의 수식대로 계산하면 결론은 최소 사이즈는 아래와 같다.

  • 가로: 2,000 픽셀
  • 세로: 2,000 픽셀

4. 사진 파일 크기

  • Jpeg: 최대 50 MB
  • Tiff: 최대 4 GB

5. 색상 프로필

​sRGB를 지원 한다.
다른 형식의 프로필로 저장되어 있더라도 자동으로 sRGB로 변환하여 등록이 되어 원본 사진과 등록된 사진 간에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왠만한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은 sRGB로 저장이 되지만 혹시나 포토샵 혹은 라이트룸 등으로 후 보정 작업 과정에서 Adobe RGB 등으로 저장하였다면 셔터스톡에 등록 시 무시 된다는 의미이다.
(포토샵 등에서도 기본은 sRGB로 저장되므로 특별히 색상 프로필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결론은 그냥 셔터스톡에 등록 할 사진은 sRGB로 저장하여 등록하자!

6. 그 외 사항들…

​어도비 스톡 처럼 흔들림, 노이즈, 광학 색수차까지 까다롭게 심사를 하지는 않지만 너무 심한 초점 불량이나 흔들림, 노이즈는 승인 거부 될 수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포토샵에서 글자나 로고 같은건 무조건 다 삭제를 하고 등록 한다.
아무런 관계없는 글자 조차도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


셔터스톡 승인거부


위 이미지는 오토바이 측면에 로고 같은게 있어서 거부 당했다…ㅠㅠ
(아래 이미지 참조…)

셔터스톡 승인거부 사유

사진을 등록해보자!

셔터스톡 대시보드


셔터스톡 기고자 대시보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우측 상단에 빨간색 버튼으로 “업로드” 가 보일 것이다.
업로드를 클릭 하면 컨텐츠 업로드 페이지로 이동한다.

셔터스톡 이미지 업로드


업로드 페이지에서 “여러 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파일을 선택하거나 업로드 사각형 영역에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업로드가 시작 된다.

셔터스톡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완료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 정보를 작성하러 가자!

셔터스톡 이미지 편집


사진 설명을 정확한 형식에 맞춰 작성해야 등록이 가능하다.
우선 편집을 할 사진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위 이미지와 같이 사진 설명 양식이 표시 된다.

  • 이미지 형식: 사진
  • 용도: 상업 (공익/보도성 사진이라면 에디토리얼이지만….우리는 판매할거다!!! 그래서 상업~~)
  • 설명: 반드시 영어로 된 사진 제목을 입력한다. (네이버나 구글 번역의 힘이라도 쓰자~ㅋ)
  • 카테고리1: 적절한 분류를 찾아 선택한다.
  • 카테고리2: 필수는 아니다…혹시나 부가적인 분류가 필요하다면 선택
  • 위치: 반드시 영어로 된 지역을 입력한다. (해당 입력칸에 대충 키워드를 입력하면 자동 완성이 된다.)
  • 키워드: 검색 키워드를 영어로 입력한다. (최대한 검색 노출이 많이 되도록 가능한 많은 키워드를 입력한다.)
  • 추가옵션: 성인용 컨텐츠 등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선택하고 검토 코멘트를 입력하여 등록한다.
  • 초상권/이미지 사용 계약서: 인물 모델 사진이거나 재산권이 있는 사물등이 포함되어 있을 시 추가 적인 초상권 혹은 자산 사용 계약서를 첨부 한다.

​키워드 입력시 키워드 제안 밑에 있는 “더 많은 키워드 찾기” 를 클릭하면 비슷한 사진의 키워드 중 추천 키워드를 찾아 준다. 보통 해당 사진을 등록한 사람들이 많이 올린 키워드 이므로 참고하는 것도 좋다^^

셔터스톡 이미지 키워드 편집


나는 야생 제비꽃 사진을 등록할 예정이므로 검색어에 wild violets를 검색했다.

검색 된 이미지들 중에서 내가 찍은 사진이랑 최대한 유사한 사진으로 3장이상 선택 하면 추천 키워드가 표시 된다.
그 중 맘에 드는 키워드를 클릭하면 내 키워드에 추가가 되고 마지막으로 “선택한 키워드 첨부”를 클릭하면 편집 중인 사진 정보에 추가가 된다.

​최종적으로 모든 사진에 대한 설명이 입력 완료 되었다면 화면 오른쪽 하단에 있는 “제출” 버튼을 클릭하여 완료 한다.

셔터스톡 이미지 콘텐츠 제출


제출 후 위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보류 중” 탭을 클릭하면 현재 심사 중인 이미지가 표시 된다.
(포트폴리오 -> 보류 중인 콘텐츠 메뉴를 통해서도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경험 상 보통 2~5일 내 검토가 완료 되었었다.

셔터스톡 이미지 콘텐츠 제출 현황


검토가 완료 되면 “검토 됨” 탭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승인된 사진은 검토 완료 후 최대 3일 내 셔터스톡 검색결과에 표시 된다.
검토 된 사진 중 승인 거부가 발생한 건이 있다면 거부 이유가 상세히 나와 있으니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올려보자~!

​여기까지 셔터스톡에서 사진 판매를 위한 등록 과정을 살펴보았다.

자신의 PC나 휴대폰, 카메라에 잠자고 있는 사진들이 있다면 셔터스톡 등과 같은 각종 스톡 사진 판매 사이트를 통해 사진을 활용해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혹시라도 대박 사진이 있을지도….? 라는 기대감과 함께 ㅎㅎㅎㅎ)


셔터스톡 바로가기

관련 글

Leave a Comment